광고기술 썸네일형 리스트형 키워드 타기팅의 한계를 넘어… 신생 스타트업 'Classify', AI 기반 문맥 큐레이션의 새로운 진화 선언 디지털 광고의 핵심이 변화하고 있다. 키워드 중심의 전통적 타기팅 기법에서, 보다 정교한 문맥과 감성 기반 큐레이션으로의 전환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광고 기술 업계에 새롭게 등장한 신생 스타트업 Classify가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이 회사는 AI 기반의 문맥 분석과 감성 신호를 활용해, 브랜드가 원하는 페이지 수준까지 정밀하게 광고 지면을 큐레이션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단순한 IAB 콘텐츠 분류 체계에 머물지 않고, 페이지 내 콘텐츠의 의미와 정서를 파악해 맞춤형 타기팅을 가능케 한다. AI 시대의 문맥 타기팅, Classify가 달리 보는 이유Classify는 기존 광고 생태계에 대한 불만에서 출발했다. 창업자 Brendan Norman은 Facebook과 Unity에서 광고 공급망과 Au.. 더보기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전용 광고 포맷 출시… “사이드 바이 사이드 미드롤로 수익화 기회 확대” 유튜브가 라이브 스트리밍 콘텐츠를 위한 신규 광고 포맷을 발표했다. 이번에 도입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미드롤 광고’는 웹과 커넥티드 TV에서 방송되는 일반 지연 시간(normal latency)의 라이브 스트리밍에 적용되며, 화면 우측에 광고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광고가 재생되는 동안에는 스트리밍 오디오가 자동으로 음소거되고, 광고 종료 또는 스킵 시 다시 음성이 재개된다. 해당 포맷은 "유튜브가 결정하도록 허용(Let YouTube Decide)" 설정을 활성화한 크리에이터에게 적용 가능하다.이번 변경은 크리에이터의 라이브 방송 활성화를 유도하고, 브랜드에게는 실시간 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광고 기회를 제시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로 해석된다.커지는 라이브 스트리밍의 상업적 가능성실시간 콘텐츠는 .. 더보기 아마존, InfoSum·Magnite와 협업… 퍼스트파티 데이터 시대의 광고 전략 강화 아마존이 광고 사업 확대를 위해 데이터 협업 플랫폼 InfoSum과 커넥티드TV(CTV) 광고 플랫폼 Magnite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협업은 개인정보 보호를 강화하면서도 광고 효율을 높이고, 아마존의 광고 생태계를 더욱 확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InfoSum: 개인정보 이동 없는 데이터 연결InfoSum은 데이터를 이동시키지 않고도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돕는 ‘데이터 클린룸’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다. 이번 연동을 통해 광고주는 고객 데이터를 아마존에 직접 제공하지 않고도 아마존 광고 시스템과 연결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Prime Video, Fire TV, Twitch 등 아마존 미디어 전반에 걸쳐 맞춤형 타겟팅 광고가 가능해진다.InfoSum을 활용하면 리타겟팅, 오디언스 .. 더보기 메타 vs. FTC 반독점 재판 종료… 인스타그램 인수의 명암, 이제는 판결만 남았다 메타(Meta)가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의 반독점 소송에서 최종 변론을 마치며, 인스타그램과 왓츠앱 인수의 정당성을 둘러싼 대형 재판이 막바지에 접어들고 있다. 이번 재판은 단순한 기업 분쟁을 넘어, 테크 기업의 미래 M&A 전략과 시장 지배력에 대한 기준을 새롭게 정립할 전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인스타그램·왓츠앱 “인수 없었으면 오늘의 성장도 없었다”메타의 마지막 증인으로는 왓츠앱 공동창립자 브라이언 액튼(Brian Acton)과 전 인스타그램 엔지니어가 나섰다. 이들은 메타의 인수가 두 플랫폼의 기술적·사업적 성장에 결정적 기여를 했다고 증언했다. 특히 메타는 틱톡(TikTok)의 급성장을 방어하기 위한 대응 전략으로 숏폼 플랫폼 ‘릴스(Reels)’를 출시할.. 더보기 PubMatic, SSP의 경계를 허물다…AI 기반 풀퍼널 플랫폼으로 진화 중 “SSP와 DSP의 경계가 무의미해졌다.”프로그래머틱 광고 시장에서 오랜 시간 유지되어온 수요 측(DSP)과 공급 측(SSP)의 경계가 급속도로 흐려지고 있다. 그 중심에는 PubMatic이 있다. SSP로 출발한 PubMatic은 이제 AI 기반 풀퍼널 솔루션으로 진화하며, 광고주와 더욱 가까운 파트너십을 형성 중이다.최근 NewFronts 행사에서 PubMatic은 셀프서브 구매 솔루션 'Activate'의 확장을 발표했다. 기존에는 주로 CTV 및 온라인 영상 광고에 국한되어 있던 이 솔루션을 이제 전 미디어 영역으로 확장하고, 이를 통해 DSP 없이도 광고주가 직접 퍼블리셔 인벤토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SSP의 반란, 퍼블리셔와 직접 연결된 성과형 플랫폼PubMatic은 단순한 SSP.. 더보기 메타, 생성형 AI 광고 도구 ‘얼리 릴리스’ 프로그램 론칭… 크리에이티브 혁신 본격화 메타(Meta)가 광고 기술의 새로운 전환점에 발을 내디뎠다. 자사 플랫폼(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레드)을 대상으로 한 ‘생성형 AI 광고 도구’ 얼리 릴리스 프로그램을 통해 소수의 광고주에게 실험적 AI 기능을 조기 제공하겠다고 발표한 것이다.이번 프로그램은 배경 편집, 자동 영상 생성, 크리에이티브 버전 자동화와 같은 생성형 기능을 포함하며, 광고주들은 실제 캠페인에서 이를 테스트하고 미리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 크리에이티브에 집중하는 메타의 전략메타는 이미 자동 타게팅 기술인 Advantage+로 광고 효율을 높여왔지만, 광고 매출 성장률은 지난해 21.7%에서 2025년 13.3%로 둔화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AI 기술의 중심축을 타게팅에서 ‘크리에이티브’로 이동시키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더보기 Microsoft, Xandr DSP 종료 선언…퍼블리셔 생존 전략 위기 Microsoft가 DSP(수요측 플랫폼) Xandr Invest(구 AppNexus)의 2026년 2월 종료를 발표했다. 이는 단순한 전략 재편이 아니라, 퍼블리셔 시장의 지형을 근본적으로 뒤흔들 변화로 평가된다. 퍼블리셔들은 사업 다각화와 광고 수익의 최적화를 더욱 심도 있게 고민해야 할 시점에 직면했다. DSP 시장의 ‘과점’ 심화와 투명성 후퇴Microsoft는 공식 발표에서 “현재 DSP 모델은 프라이버시 중심의 개인화, AI 기반의 대화형 광고 경험을 지원하기 어렵다”며 DSP 사업 공식 종료 배경을 밝혔다. 업계 전문가들은 Microsoft의 이 같은 결정이 DSP 과점 구조를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지적한다. 현재 TTD, Google DV360, Amazon 등 단 3개 기업이 DSP 입찰.. 더보기 유튜브, BrandCast 2025에서 광고 생태계 전방위 확장 선언 AI, CTV, 쇼퍼블 TV까지… ‘Only One YouTube’의 진화는 계속된다글로벌 동영상 플랫폼 유튜브가 브랜드와 크리에이터가 함께한 BrandCast 2025에서 자사의 20주년을 기념하며, 광고주를 위한 새로운 기능과 플랫폼 혁신을 대거 발표했다. ‘Only One YouTube’라는 슬로건 아래, 유튜브는 거실과 문화, 숏폼과 롱폼, 브랜드 인지도와 전환까지 모든 광고 목적과 포맷을 아우르는 ‘올인원 광고 플랫폼’으로서의 정체성을 다시 한 번 공고히 했다.몰입의 순간을 공략하는 AI 기반 타기팅 ‘Peak Points’가장 눈에 띄는 발표는 ‘Peak Points’ 기능이다. 구글의 생성형 AI Gemini 기반으로 개발된 이 기능은 시청자가 감정적으로 가장 몰입하는 ‘피크 순간’을 자동으.. 더보기 마이크로소프트, DSP 사업 철수…AI 중심 광고 플랫폼에 집중 마이크로소프트가 자사의 수요측 플랫폼(DSP)인 'Microsoft Invest'를 2026년 2월 28일부로 종료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기존의 오픈 프로그래매틱 모델에서 벗어나, AI 중심의 개인화된 광고 전략에 집중하기 위한 결정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대화형이고 에이전트 기반의 광고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DSP 모델이 더 이상 적합하지 않다"며, "Microsoft Invest를 통한 미디어 구매 지원을 중단하고, Microsoft Advertising Platform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결정은 업계에서도 큰 반향을 일으켰다. Digiday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미 광고주들에게 DSP 종료 계획을 알렸으며, 이로 인해 일부 인력 감축도 예상된다.. 더보기 “Easy Button”이 된 광고 기술… 마케터가 진짜 원하는 것은 ‘단순함’ 이 글은 Ad Exchanger의 Walled Gardens Are Winning Because Brand Marketers Want More Easy Buttons 제하의 기사를 한글로 옮긴 내용 입니다. 지난주 마이애미에서 열린 Possible 컨퍼런스를 기점으로, 프로그램매틱 벤더가 마케터에게 정말로 제공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지 다시금 고민하게 된다. 행사장에서는 금리, 관세, 글로벌 경기 침체 같은 거대한 경제 이슈는 좀처럼 거론되지 않았다. 햇볕 아래에서 브랜드 예산으로 칵테일을 마시는 자리에서 ‘우울한 이야기’를 꺼낼 이는 드물다.그러나 오히려 그런 분위기 속에서 더욱 선명해지는 사실이 있었다. 브랜드 마케팅과 광고 기술은 서로 다른 우주에 존재한다는 점이다.CPG 브랜드의 피라미드 조직 구.. 더보기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