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포스팅은 이마케터에서 2018년 12월 18일에
발행한 Ten Key Digital Trend For 2019의 내용을 요약하면서 한국의 상황에 대해서는 제 주관적인 의견을 첨언한 것 입니다. 원본은 여기를 눌러 확인해 주세요.
시간 관계상 3번을 나누어 포스팅 합니다.
1. 광고 인벤토이 공급망에 대한 투명성 요구의 증대
아직 프로그래매틱 바잉이 활성화되지 않은 우리 시장에서는 생소해 보일지 모릅니다. 하지만 프로그래매틱 바잉을 하고 있거나 할 예정이라면 아마도 클라이언트로부터 동일한 요구를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최근 몇 년동안 마케터들은 디지털 광고의 가치 사슬내 복잡성과 이에 대한 불투명성, 그로 인한 브랜드 안전성(brand safety)에 대해 꾸준히 우려를 표명하였습니다. 내가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툴인 DSP와 연결된 수 많은 광고 인벤토리는 중간에 많은 판매자와 재판매자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유통과정이 복잡해지면서 가격이 올라가는것은 여타 다른 재화와 다를게 없습니다. 하지만 마케터 입장에서는 이런 각 항목에 대한 비용을 한 눈에 살펴 볼 수 있는 대시보드가 존재하지 않는데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이마케터(eMarketer)는 2019년에 이런 마케터의 갈증이 정점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는 이런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믿을 수 있는 미디어 파트너들과 직접 계약을 체결하는 Private Market Place를 만드는 방법도 하나의 해결책이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매체사의 기술적인 이해도 부족, inventory aggregator들에게 한꺼번에 대량으로 판매하는 구조 때문에 어려움이 있었다는게 제 경험 입니다.
2. 페이스북의 광고 수익은 유지될 것이지만, 사용성은 그렇지 않을 것이다.
아래 차트에서 보는것처럼, 이마케터는 여러가지 악재에도 불구하고 페이스북의 광고 수익은 2019년과 2020년 모두 두 자리수 이상의 성장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해서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사용자 수와 시간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이마케터에 따르면 북미 이용자의 페이스북 이용 시간은 내년에는 정체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으며, 인스그램의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2018년 26분에서 2019년 27분으로 소폭의 증가가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마찬가지 입니다. 추후 코리안클릭 데이터를
통해 따로 포스팅을 하겠지만, 국내에서도 페이스북의 이용자수와 체류 시간의 감소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마케터에 따르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이스북의 광고 수익 성장이 예상되는 이유는 TV 시청률 감소에 따라 마케터들은 TV 광고비를 디지털 미디어로 옮기고 있는데, 마케터들은 여러가지 문제-이용 시간 감소, 개인 정보 침해 이슈 등-에도 불구하고 딱히 페이스북의 광고비를 줄이고 싶어하지 않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3. 음성 보조 기술은 스마트 스피커에만 국한되지 않을 것이다.
2015년 아마존 에코, 2016년 구글 홈의 출시 이후에 국내에서도 각 통신사 및 포털 사이트에서 경쟁적으로 스마트 스피커를 출시하였습니다.
하지만 이마케터는 단호하게 2019년은 스마트 스피커의 해가 되지 않을 것이며, 음성 혁신의 중심에서 스마트 스피커의 중요성은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합니다.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많은 기술 회사들이 음성 인식 기술을 가전, 냉장고 등의 IOT에 적용하기 때문에, 스마트 스피커만이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하는 전부가 아니라는 것이죠.
그 근거로 음성 기술에 선구적인 기업들의 태도를 꼽고 있습니다. 아마존, 구글, 삼성은 외부 개발자들에게 자사의 음성 기술은 스마트 스피커 외 다른 장치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장려하고 있고, 특히 삼성은 자사의 전자 제품과 가전 제품에 자사의 음성 기술인 빅스비 장착을 두 배로 늘리고 있습니다.
소비자들 역시 스마트 스피커 이외 기기에서 음성 기술을 경험한 적이 많습니다. Rain anf PullString이 지난 2018년 9월에 실시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미국 인터넷 이용자 10명 중 3명은 스마트 스피커 이외에 다른 기기들-TV 관련 기기, 스마트 시계, 게임 콘솔 등-을 통해 음성 보조 기술을 사용해 본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습니다.
4,5,6은 다음에...
To be continued...